티스토리 뷰
우분투도 그렇고 페도라도 그렇고 요새는 root 계정을 막아놓는 것이 추세인듯 합니다.
하지만, 매번 sudo 쓰는 것도 귀찮고 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.
- 일반 계정으로 들어가서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등록합니다.
왜냐하면, 처음 우분투를 설치하고 나서는 root 계정의 비밀번호가 없는지, 랜덤으로 만들어져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접속을 할 수가 없습니다. 때문에 root의 비밀번호를 등록합니다. 아래와 같이 <성공적으로 업데이트 했습니다> 라는 말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업데이트가 된 것입니다.
- 아래 그림과 같이 < su root > 명령어를 사용하여 root 계정으로 접속합니다.
- 그 다음 <시스템> → <관리> → <로그인 창> 을 선택합니다
- 로그인 창 기본 설정 이 화면에 표시됩니다. 여기서 <로컬 시스템 관리자 로그인 허용> 에 체크표시를 합니다.
- 마지막으로 터미널 창에서 < sudo -s > 명령을 사용하여 root 계정을 활성화 시켜주면 됩니다.
'Tip > Unix &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분투 부팅 메뉴 수정 방법. (0) | 2009.07.23 |
---|---|
KDE4 한글화 (0) | 2009.02.27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TAG
- 안드로이드
- 넥서스원
- v550
- zip
- 마우스
- Android
- MinGW
- Accelerated C++
- image processing
- JNI
- 파이어폭스
- Tensor Flow
- docker
- kde4
- gcc
- Computer Vision
- vi
- vim
- XP
- 리눅스Tip & Tech
- Camera
- v470
- SIFT
- 구글폰
- opencv
- C++
- image-processing
- 탐색기
- QT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