들어가는 글....현재 내 맥북은 개발용이기 때문에 여러가지 개발도구가 많이 설치되어 있다. 일단 Android 개발도구들 - Android Studio 2.x, 3.x, SDK, NDK ... 그리고 open cv와 Node.js 도 설치되어 있다.근데 여기에 추가로 python 하고 tensor flow 설치하면.... 으음... 아무래도 불안해서 독립적으로 개발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지 찾아보기 시작했다.오... Docker라는게 있다고 하는데? 자세한 건 링크 참조... 그래서 텐서플로우 설정을 위해 Docker를 설치하기로...Tensor Flow 설치하기 (Mac OS)Docker 다운로드 및 설치터미널에서 Docker 셜행 docker run -it -p 8888:8888 gcr...
사용된 소스코드는 다음과 같다.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using std::cin;using std::sort; using std::cout;using std::streamsize; using std::endl;using std::string; using std::vector;using std::setprecision; int main() { // 학생의 이름을 요청하고 읽어들임 cout > name; cout x ) homework.push_back(x); // 학생이 과제성적을 입력했는지 확인 typedef vector::size_type vec_sz; vec_sz size = homework.size(); if( size ==..
1. openCV 1.1a 를 설치합니다. 이곳에서 받습니다. 최근 버전은 2.0이지만 1.1을 사용합니다. 2.0도 되는지는 모르겠어요. 2. 설치된 코드는 실행코드 입니다. 개발시에는 릴리즈나 디버그 버전의 라이브러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컴파일을 해야합니다. 1) ..OpenCV\_make 로 이동합니다. 2) opencv.vs2005.sln 를 2005나 2008로 불러옵니다. 3) Build → Batch Build를 선택하여 debug와 release에 모두 체크합니다. x64도 하시고 싶으면 하셔도 됩니다만 권장하지는 않습니다. 4)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. 오타때문에 발생하는 에러로 cvaux.h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. 1167 번째 라인의 ' ?/ ' 부분을 ' */ ' 으로 수정하..
아래와 같이 설정을 하고 directshow를 사용하시다 보면 c:\development\microsoft sdks\windows\v6.1\include\qedit.h(498) : fatal error C1083: Cannot open include file: 'dxtrans.h': No such file or directory 이런 에러가 발생합니다. 이럴때는 #pragma include_alias( "dxtrans.h", "qedit.h" ) #define __IDxtCompositor_INTERFACE_DEFINED__ #define __IDxtAlphaSetter_INTERFACE_DEFINED__ #define __IDxtJpeg_INTERFACE_DEFINED__ #define __IDxtKe..
가장 최근의 Microsoft Windows SDK - 아마도 Windows Server 2008 일겁니다, 여기서 Server 2008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와는 아무 연관이 없습니다 - 와 DirectX SDK를 다운받습니다. 일단 처음에 Windows SDK를 먼저 설치합니다. 그 다음에 DirectX SDK 를 설치합니다. 선택사항 없이 그냥 설치하시면 됩니다. 환경설정의 include 디렉토리설정을 다음과 같이 해줍니다. 경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합니다. ① (SDK 설치 경로)\Microsoft SDKs\Windows\v6.1\Samples\Multimedia\DirectShow\BaseClasses ② (SDK 설치 경로)\Microsoft DirectX SDK (March 2009)..
현재 약 10 몇개 정도의 firefox add-on 을 사용하고 있습니다. pc를 여러대 사용하는 만큼 정리할 필요성이 있는 듯 하여 정리합니다. Adblock Plus 필수입니다. 쓸모없는 플래시 광고를 차단시켜줍니다. 웹서핑이 깔끔해집니다. Brief RSS 피드를 파이어폭스에서 관리할 수 있는 부가기능입니다. 제가 원래는 구글리더를 사용했는데요, 이쪽이 더 사용하기 편하다고 할까요. 굳이 구글리더까지 들어갈 필요가 없이 계속 웹서핑하면서 바로 확인 할 수 있으니까요. Cooliris 가끔 사용하면 재미있는 부가기능입니다. 정확히는 동영상이 그림, 뉴스를 화려한 기능과 함께 볼 수 있습니다. Easy DragToGo 저 같은 경우는 해당 문구를 블록 지정하고 어느쪽으로 드래그앤드롭하느냐에 따라서 검..
우분투나 페도라 모두에서 사용가능한 방법입니다.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. 만약 root로 로그인을 할 수 없다면 sudo를 사용하면 됩니다. 다음 위치로 이동합니다. $ cd /boot/grub menu.lst 파일을 편집기나 vi를 사용하여 엽니다. 이 파일은 root 권한을 가져야만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root 로그인이나, sudo 명령어를 사용하여야 합니다. 아래와 같은 부분을 설정합니다. default4# 어떤 OS를 기본으로 선택할지 결정합니다. # 0부터 시작하며 현재는 4번째 title(XP)을 선택하도록 되어있습니다. timeout5# 부팅 메뉴를 표시하는 시간입니다. # 이 시간이 지나면 현재 선택된 메뉴로 부팅됩니다. .... # 0번째 메뉴입니다. 일반적인 우분투 커널입니다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리눅스Tip & Tech
- Android
- zip
- SIFT
- 파이어폭스
- docker
- vi
- 안드로이드
- gcc
- opencv
- vim
- 넥서스원
- 마우스
- v470
- Computer Vision
- 구글폰
- MinGW
- image processing
- XP
- Accelerated C++
- Tensor Flow
- QT
- 탐색기
- kde4
- Camera
- v550
- image-processing
- C++
- JNI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